학술논문
Evaluation of the Home-based,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Family Caregivers
이용수 14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희(Cho Yoon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1173~11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에서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 간호자를 대상으로 포괄적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가족간호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부담감, 개인적 성장, 가족 적응 및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3명의 가족 간호자이며, 실험군 31명, 대조군 32명이었다. 프로그램은 가정방문, 그룹미팅, 지지적 전화를 포함하여 6주간 진행되었다. 연구분석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χ2-test와 independent t-test로 검정하였고, 실험처치의 효과는 MANCOVA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을 적용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식, 자기효능감, 가족 적응 및 예방적 건강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고, 가족 부담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하지만, 가족 간호자의 개인적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home-based,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study period for program was six weeks including home visits, group meetings, and supportive phone-calls. A total of 63 caregiv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31) or the control group (n=32).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were evaluated by knowledge, self-efficacy, family burden, personal growth, family coping strategies,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knowledge, self-efficacy, family coping,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nd lower level of family burde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did not appear to have a favorable effect on personal growth.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