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영선(Heo, Young-Sun) 채정현(Chae, J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1403~14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 세계시민교육(GCED)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평가하여 차기 가정과교육과정에서의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를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문헌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학습 요소와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TLO)의 관련성을 전문가 집단을 통해 분석하였다. 설계와 개발 단계에서는 추출된 학습 요소를 토대로 가정교과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증을 거쳐 수정하였다. ‘다양한 이슈를 고려한 식품 선택 프로젝트’,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주거 문화 프로젝트’, ‘지구촌에서 나의 비전 찾기 프로젝트’의 3가지 프로젝트로 구성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중학교 가정교과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일부를 광주광역시 소재의 G중학교 남녀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세계시민의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이 수업을 통해 세계시민개념과 세계 문제, 보다 나은 가치를 위한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일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home economics GC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to suggest systematic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uides for the next vers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has gone through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stage, literature related to GCED was analyzed. The relevance of learning elements of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the Global Citizenship Topic and Learning Objectives(TLO) was analyzed by a group of experts. Based on learning elements extracted from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s, home economics GCED program was developed and modified after expert verification.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ree projects:  Food Selection Project Considering Various Issues,   Residence Culture Project to Live Together  and  Finding My Vision in the Global Village.  During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program was given classes to 72 male and female students at a G middle school in Gwangju. During the evaluation phas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world citizenship via pre- and post-tests, and th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lasses, and they answered that they knew that there were things that could change the concept of world citizenship, world issues, and better valu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