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indings and Histological Findings of Meibomian Gland in Ra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승훈(Seung Hoon Lee) 엄영섭(Youngsub Eom) 송종석(Jong Suk Song) 나경선(Kyung Sun Na) 김은철(Eun Chul Kim) 김현승(Hyun Seung Kim) 김만수(Man Soo Kim) 황호식(Ho Sik Hw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8, 849~85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국문 초록
목적: 쥐에서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의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여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보이는 구조물의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쥐 2마리를 대상으로 위눈꺼풀 및 아래눈꺼풀에 대해 일괄절제술(en bloc excision)을 시행한 후 3차원 빛간섭단층촬영(three dimensional OCT, 3D OCT)으로 마이봄샘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스캔하여 3차원 이미지로 재구성하였다. 위 검체를 다시 10% 포르말린에 고정한 다음 H&E 염색을 시행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과 조직검사의 소견을 비교하여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보이는 구조물이 조직학적으로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결과: 빛간섭단층촬영으로 관찰한 쥐의 마이봄샘에서 세엽(acini)의 표면 쪽은 잘 관찰되었으나, 중심관(central duct) 및 중심관보다 깊은 세엽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쥐에서 빛간섭단층촬영으로 확인 가능한 마이봄샘의 구조물은 세엽의 표면으로 제한되었으나 체외(ex vivo) 상태에서 재구성한 마이봄샘의 구조는 사람의 마이봄샘과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동물에서 생체내(in vivo) 상태의 마이봄샘촬영술(meibography)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histological findings of Meibomian glands in ra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ructures seen using OCT were clarified.
Methods: En bloc excision was per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in two rats. The axis of the Meibomian gland was vertically scanned with three-dimensional (3D) OCT and reconstructed into 3D images. The samples were fixed in 10% formalin again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The findings of the OCT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were then compared to determine the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s observed in the OCT.
Results: The surface of the acinus was well-delineated in the Meibomian glands of rats using OCT. However, no deep acini were observed in the central ducts.
Conclusions: The structure of Meibomian glands imaged by OCT in rats was limited to the surface of the acinus. The structure of the reconstructed Meibomian gland ex vivo was similar to that of the human Meibomian gl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in vivo meibography system was therefore confirmed in animal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