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Health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춘화(Jung Chun 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1171~11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도의 4년제 대학교 보건계열 대학생 398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 우울과 자살생각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데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health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98 college student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7, in C province and Y cit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elf-esteem had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n th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health college student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relieving suicidal ideation.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of health college students,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