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Course-centered Assessments According to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소영(Yang Soh 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727~7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과정중심평가의 이해와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평가’부분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을 검토한다. 또한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교과 내, 교과 간 재구성을 통한 초등학교 5~6학년 과정중심평가 활용 방안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교과 간 성취기준의 재구성 사례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둘째, 음악과 성취기준을 근거로 한 새로운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전체 수업 과정은 음악성을 기를 수 있는 수업 내용과 교수·학습방법, 그에 따른 과정중심평가로 연계되어야 한다. 넷째, 과정중심평가 교사 연수에 음악과도 포함시켜야 한다.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예측하고 사회변화에 맞추어 바뀌는 교육 형태를 빠르게 파악하여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의 개발과 적용에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music course-centered assessm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s. For this, it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centered assessments and reviews the assessments on the ‘assessment’ category in the summary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s and music curriculum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t also investigates how to utilize course-centered assessments for 5th and 6th graders through intra- and inter-disciplinary reorganizations based on performance criteria.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the reorganization of inter-disciplinary performance criteria.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based on achievement criteria. Third, concerning overall curriculums, the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performance-centered assessments which can help students build their music competence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Fourth,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ourse-centered assessment should include music.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effort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ew assessment paradigm by predicting a future society based on continued studies and quickly analyzing education patterns which are adjust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과 과정중심평가 활용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