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Attachment Type among Teacher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미(Kim Jeong Mi) 김춘경(Kim Choo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663~6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애착유형에 따른 교사 애착과 정서지능, 생활만족도가 정서 및 행동적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의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1,021명의 학생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및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안정애착 유형 집단은 불안전애착 유형 집단보다 교사애착과 정서지능,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및 행동문제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에 따른 아동의 정서 및 행동문제 관련 변인들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안정애착 유형 집단과 불안전애착 유형 집단 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모든 애착유형에서 교사애착, 정서지능, 생활만족도는 정서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지능과 생활만족도는 행동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애착유형에서 교사애착과 정서 지능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애착은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애착유형에 따라 교사애착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애착유형에 따라 정서지능은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impacts child s teacher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had on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how these variables were related from attachment styles. For this purpose, the respondents were 1,021 elementary students(fifth and sixth graders) in Daegu, Kyungpook,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tools for attachment styles, teacher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addition, after analysing the data, using SPSS 18.0 and AMOS 18.0, it verified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First, secure attachment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teacher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than insecure attachment group. Second, in all attachment styles, children s teacher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emotional problems. Third, in all attachment styles,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behavioral problems. Fourth, in all attachment styles, children s teacher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Fifth, in all attachment styles, children s teacher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Six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eacher attachment on emotional problems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of children. Las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of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