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eaching Note-taking Strategies on Korean Primary English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혜정(Heo, Hyejung) 이상기(Lee, Sang-K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589~6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총 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듣기 학습 전략으로서의 메모하기가 영어 듣기 능력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알아보고, 듣기 문항 유형 별로 그들의 메모하기 전략 사용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폈다. 영어 듣기 성취 수준이 동질한 학생들 24명으로 각각 구성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에는 기존의 의사소통 기능 중심 수업을 진행하며 메모하기 전략(핵심키워드 적기, 나만의 언어로 바꾸어 적기, 기호와 숫자 적기, 문제나 보기에 밑줄 긋기)에 대해 교수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의사소통 기능 중심 수업만을 실시하였다. 3주의 기간 동안 총 9차시에 걸쳐 진행된 실험 처치 결과, 메모하기 전략에 대한 교수학습을 경험한 실험반의 학생들의 듣기 과업 수행이 비교반에 비해 우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메모하기 전략에 대한 교수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하게 기여하였음을 의미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듣기 과업 수행에 있어 메모하기의 여러 가지 하위 전략들의 활용 빈도가 문항의 유형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함께 교육현장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d the effects of teaching note-taking strategies on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in a second language. A total of 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is three-week long quasi-experimental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experimental versus one comparison.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four different types of note-taking strategies (i.e., writing down key words, paraphrasing, coding, underlining) across three types of question items (i.e., understanding main points, catching details, indirect speak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strategy instruction brought about significant learning effec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mployed different subtypes of note-tak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three different item types. More detailed findings are presented, along with some implications for primary English classroo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