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수영(Yang su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425~4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안정적 현장 정착을 위하여 그 기초연구로서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된 내용들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29명의 유아교사가 우편 및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기술통계분석과 평균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 이해도의 일반적 경향은 대체로 평가와 자율적 교육계획 방법, 영역별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놀이지도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보통수준 이하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이해도의 평균차이를 살펴본 결과, 재직기관 유형, 교사경력, 학력,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정된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초기단계에 교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the major change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as a basic study for the stable field settlement. For this, a total of 229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collected data through online & mail survey method. With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test for difference in mean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research, the general tendency of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is that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was lower than normal on the evaluation, autonomously design metho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for each area, and play instruction metho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level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preschool teacher, the type of institution, teacher’s career, educational level, and position, was significant.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a teacher education plan at an early stage of application of the new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