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Motion and Energy: Focused on Analysis of National Assessment of Evaluation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봉(Jaebo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815~8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결과를 활용해서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학습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년간의 평가 결과에서 성취수준별 정답률 차이가 큰(>30%p) 문항 62개 문항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통학력 학생은 과학적 원리나 법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여 상황이 달라지거나 약간 심화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오개념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구체적으로는 힘의 합성, 운동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 관성, 마찰 전기, 정전기 유도 현상, 전류의 미시적인 모형, 전기회로와 관련된 실험 설계, 물체가 보이는 원리 설명, 소리의 높낮이나 세기에 따른 파형 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기초학력 학생들은 과학적 원리를 현상에 적용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구체적으로는 힘의 종류와 특징, 용수철에 의한 힘의 측정 원리, 운동 방향과 힘의 방향과의 관계, 일과 에너지의 정리적용, 비열과 온도변화 관계, 열의 이동 방향이나 보존 개념, 회로에서 전하량 보존과 렌츠의 법칙, 굴절의 법칙 등을 어려워한다. 기초학력 미달의 학생은 일반적으로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하여 일상생활의 소재와 과학 원리나 법칙을 연관짓지 못하는 특성이 있고, 일상생활의 예에서 힘의 종류나 에너지 전환, 열팽창, 평면거울에서의 상, 색의 원리, 소음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특히 부족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levels in the areas of motion and energy using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To do this, we carried out a meta-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ver many years. The subjects of this analysis consisted of 100 items related to physics that had been evaluated during the last 10 years in NAEA. We assumed that the items with large differences in the correct answer rate by achievement level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 level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we selected 62 items with large correct answer rate differences (> 30%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tems analysi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degree of comprehens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by achievement levels and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areas of force and movement, thermal energy, electricity and magnetism, light and wave.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has a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cientific principles and laws in proficient level. They therefore often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new contexts or in-depth content and often have misconceptions. At the basic level, the student is unable to apply scientific principles to natural phenomena. At the below-basic level, the student does not understand basic concepts and tend not to associate science with everyday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