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諺文少年少女讀物の內容と分類)』(1927.12-1928.08)를 통해 살펴본 아동출판물 검열 기준과 사례의 성격
이용수 99
- 영문명
- The censorship standards and case characteristics of the censorship documents of children’s publications through the review of 『The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Eonmunsonyeon- sonyeodokmul(諺文少年少女讀物の內容と分類)』(1927.12-1928.08)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문한별(Moon, Han Byoul) 조영렬(Cho Young Ryeol)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5집, 253~2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에 의해 생산된 출판물 검열 자료인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1927.12-1928.08)를 대상으로 하여, 출판 검열 제도와 사례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에 도서과가 신설된 1926년 4월 이후 만들어진 아동출판물에 대한 삭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전체 88종의 삭제 기사가 수록되어있다. 특히 88종의 자료를 정리하면서 이를 ‘민족주의적 독물(독서물)’, ‘사회주의적 독물’, ‘양자 모두 이용 가능한 독물’로 분류하고, 그 아래 10가지 항목을 두어 배치함으로써 검열된 사유를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항목과 분류 수록된 삭제 기사들은 당시 도서과가 신설된 이후 출판물에 대한 사상 통제를 위해 체계화시키기 시작한 검열 표준을 보완하고 강화한다는 의미가 크다. 본 연구는 이를 기존 연구에서 확인한 검열 표준과 대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서과가 아동출판물에 대해 새롭게 만든 검열 기준들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을 위해 지금까지 완역된 바 없는 일본어로 작성된 이 자료를 번역하고 해제하여 각 사례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ublishing censorship system and cases with 『The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Eonmunsonyeon- sonyeodokmul(1927.12-1928.08)』 as the subject, which was publication censorship materials produced by the police bureau,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document contains deletions of children’s publications created after April 1926, when the Books Department was founded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which includes 88 deleted articles. In particular, while organizing 88 kinds of data, it was classified into ‘nationalist reading materials,’ ‘socialist reading materials,’ and’reading materials available to both parties’ and placed ten items below, enabling to confirm in detail the reason for censorship. These items and classified deleted articles have a great significance to complement and strengthen the censorship standards that have begun to be systemized to control the thought of the publica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department at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is with the censorship standard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studies to check the newly created censorship standards for children’s publications to trace their meaning. For this process, particularly, this material written in Japanese that has not been completed so far has been translated and released so that the meaning of each case can be confirmed in detail.
목차
1. 문제제기
2. 도서과의 신설과 문건의 관계성
3.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 수록 삭제 기사 해제
4. 아동출판물 검열을 위한 세부 기준의 확립
키워드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
출판 검열
사상 통제
아동출판물
검열의 체계화
삭제 기사
검열 표준
사례
일제강점기
『The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Eonmunsonyeon-sonyeodokmul』
Library department of Police bureau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blishing censorship
Thought control
Children’s publications
systematization of censorship
deleted articles
censorship standards
cases
Japanese occup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