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s of Realization of Korean and Chinese Exclamatory Sent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당기(TANG Q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165~1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중 병렬말뭉치 분석을 통해 한국어 감탄문의 실현 양상 그리고 대응하는 중국어 감탄문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병렬말뭉치에 있는 한국어 감탄문과 그들의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하여 두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유익한 도움이 되기 바란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배경을 설명하면서 연구 동기와 연구 필요성을 제시한다. 제2장은 선행연구 검토로 한국과 중국에서 감탄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본다. 기존 선행연구 검토하면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본 연구가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감탄문의 실현 양상에 대해 서술한다. 한국어 감탄문은 주로 감탄형 종결어미로 실현되고 그 외에도 감탄보문이나 다른 문장형식으로 실현된다. 반면에 고립어인 중국어 감탄문은 주로 감탄 어기사에 의해 실현되고 그 외에 정도부사나 지시대사, 그리고 다른 문장형식으로 실현된다. 제4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이론 기초로 한중 병렬말뭉치를 분석을 통해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감탄문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밝히도록 한다. 감탄형 종결어미로 실현된 감탄문은 가장 전형적이지만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말뭉치에 나온 한국어 감탄문을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use of exclamatory sentences in Korean and the implementation forms of exclamatory sentences by analyzing the parallel corpus of Korean and Chinese, and further analyzes the realization tense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exclamatory sentences corresponding to Korean exclamatory sentences. Through such research, I hope that I can help som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or Chinese. The first chapter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While introducing the research background, it also illustrates the motivation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es. The second chapter is based on summarizing the previous researches, respectively examining South Korea s previous research and China s previous researches, and pointing out the shortcomings in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e following narratives, I try to make corresponding supplements by referring to the shortcomings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e third chapter is the theoretical basis, mainly analyzing the realization forms of Korean and Chinese exclamatory sentences. The exclamatory sentence of Korean is mainly expressed by the end of the exclamatory sentence, and it is also realized by the supplementary sentence with exclamatory meaning. Although it is a minority case, sometimes it will express sigh through other forms. However, as an isolated language, Chinese mainly expresses sigh through the sigh of modality. Of course, the expression of exclamatory sentences can also be expressed by degree adverbs or demonstrative pronouns, or by special sentence forms. Based on the previous explanations,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parallel corpus materials of Korean and Chines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theoretical explanations, the specific implementation forms of Korean exclamatory sentences are observed. At the same time, it also analyzes the Chinese corresponding to the Korean exclamatory sen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감탄문의 실현 양상
Ⅳ.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감탄문의 실현 양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