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ideration of Topic-centered Integration classe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classes at Innovative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형(Lee Min H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729~7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를 중심으로 하여 중학교에서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교과 연계·융합 수업 실행 과정을 질적 연구방법 중, 전문가 인터뷰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세 곳의 중학교 교사와 면담하고 관련자료를 통하여 수업 실행 과정을 분석한 결과, 면담 대상 교사들은 모두 ‘교육과정’을 ‘학교의 비전, 가치’의 의미로 생각하고 있어, 이 비전과 가치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주제 연계·융합 수업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흥미와 실생활에 맞는 주제를 수업의 맥락에 도입하는 것과, 교과 수업의 본질적인 목표인 교과 성취기준의 달성을 조화시키는 것을 구체적인 수업의 장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하지만 국어과 수업의 본 논리라고 할 수 있는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재구성 및 재해석이 다소 빈약한 측면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문법 등의 일부 영역은 여전히 시험 전 지식 전달 학습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각 교사들은 교과 간 협력을 원활하게 하고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평가’ 에 관련해서는 다른 국면만큼 교과 간의 연계·융합이 원활하게 되고 있지 못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n integrated Korean language class execution process centered on the topic in middle school was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three middle school teachers and related data. As a result, all the teachers interviewed considered “curriculum” as the meaning of “school vision and values,” and sought an integrated class in the process of embodying this vision and values. In addition, subjects that were suitable for learners interests and real life were introduced into the context of the class. At the same time, it was practiced to harmonize the achievement of the subject standards.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Korean language standards and textbook reconstruction and reinterpretation were rather poor. And some areas such as grammar were interpreted to remain in knowledge transfer learning before the exam. Each teacher was working smoothly between subjects, but in general, it was not as smooth as other aspects of evaluation .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