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rounded theory approach to grit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란(Lee, Mi R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1185~121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보육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그릿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보육실습을 완료한 예비유아교사 14명이었으며 개방형 질문을 이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trauss와 Corbin(1998)의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51개 개념, 46개 하위범주, 17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중심현상은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 인내하기’이었으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새로운 현장경험에 대한 불안’과 ‘교사되기 위한 준비’, 맥락적 조건은 ‘신체 및 심리적 소진’, ‘지도과정에서의 지도교사의 부정적 요소’, ‘수업활동 수행의 어려움’, ‘교구제작 활동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가 사용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지도교사와 긍정적 관계 형성’, ‘지도교사 지도에 따라 실행하기’, ‘개인적 행동전략 실행하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이었으며, 전략은 중재적 조건인 ‘영유아와 함께 하는 즐거움’, ‘지도교사 및 원장의 지도와 격려’, ‘교사양성기관의 지도’, ‘부모, 교우, 선배의 지원과 격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은 ‘교사로서의 성장과 발전’, ‘교사진로에 대한 확신’라는 긍정적 결과를 이끌었으며, 핵심범주는 ‘다양한 전략 사용하여 어려움 극복하기’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그릿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on grit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articipant were fourt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e in child care cen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ollowing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entral phenomenon was derived from ‘to persevere in hard and difficult situation’. The causes of the central phenomenon were ‘anxiety about new field experiences’, and ‘preparing to be a teacher’,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negative factors of the teacher in the teaching process’, ‘difficulty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difficulty in making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 used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overcome difficulties such as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to implement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a teacher’, ‘implementing personal action strategies’, ‘to cope with effectively to a situation’. Theses strategies were influenced by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such as ‘the pleasure of being with children’,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teachers and directors’ ‘guidance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and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parents, peers and seniors’. The consequences were ‘growth and development as a teacher’. and ‘confidence in teaching career’. Finally, The core category in the selective coding was designated as ‘overcoming difficulties with various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