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among Some Dental Clinic Patients in Gyeonggi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홍민희(Min-Hee Hong) 정미애(Mi-Ae Jeo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1 No.4, 1895~19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치과내원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실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구강보건 인식과 실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다. 첫째, 구강관리 필요성, 잇솔질 시기, 치주질환 예방, 구강보건교육에 대해 치과 내원 환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에 전체 평균이 각각 3.68, 4.10, 3.85, 3.86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치과 내원 환자들의 정기적 구강검진실천에 대해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03으로, 치과 내원 환자들은 정기적 구강검진 실천이 그다지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강보건 인식은 정기적 구강검진 실천(r=.400, p<.001)과 올바른 잇솔질(r=.421, p<.001), 올바른 세치제 선택(r=.474, p<.001), 구강보건교육(r=.45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ing of the dental clinic patients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Practice of oral health care about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about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Realization and Practice as below; 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dental clinic patients on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the right time for toothbrush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and the education of oral health care the patients investigated got a mean of 3.68, 4.10, 3.85 and 3.86 respectively out of possible five points. 2. In regard to the dental checkup of the dental clinic patients, they got a mean of 3.03 out of possible five points, as shown in Table 8. It implied that the patients didn’t get a dental checkup often enough. 3. Their awareness of oral heal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implementation of dental checkup(r=.400, p<.001), toothbrushing practice(r=.421, p<.001), use of the right dentifrice(r=.474, p<.001)and practice of oral health care(r=.596, p<.001).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및 대상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