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in school and youth 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김미희(Mi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65권, 247~2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및 가족, 학교생활과 관련한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의 사회 자본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종단적 변화 양상을 잠재성장모델(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2013년~2016년(4차, 5차, 6차, 7차) 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의초기 값과의 관계는 학교 또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지역사회 인식(+), 교사와의 관계(+), 공동체 의식(+)이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대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은 성별(-), 학교 또래 관계(-), 학교 교사와의 관계(-), 공동체의식(-)이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가정 내 부모관계가 여전히 중요하지만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중요성 또한 주목하여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학교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공동체 의식 변수가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적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 맞는 정책적대안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 사회자본과의 관계와종단적 영향을 보여줌으로서 청소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학문적 기초를 제공함에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in relation to adolescents community, family, and school life, and analyzes the pattern of longitudinal change between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o this end, the data from the 4th, 4th, 5th, 6th, and 7th grade cohorts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establish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Used. Empiricall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while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o reveal the longitudinal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life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nd academic foundation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youth s lives by empirically analyzing and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