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Group Bullying,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민숙(Seo Min 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595~6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91명으로 일반적 특성,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식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37±.63이었으며 자아존중감(r=.460, p<.001)에 양(+)의 상관관계, 집단따돌림(r=-.226,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자아존중감(β=.429, p<.001)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설명력은 37.2%이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91 students includ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oup bullying,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from November 1st to 30th in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5.0. The mean score of 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3.37±.63.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self-esteem(r=.460, p<.001) an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group bullying(r=-.226, p<.001).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show self-esteem we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explaining 37.2% the variance i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refore many programs need to develop for enhancing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