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Efficacy of Low Vision Aid Using Virtual Reality Devic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여준형(Joon Hyung Yeo) 강정우(Jeong Woo Kang) 문남주(Nam Ju Mo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7, 795~8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저시력 기구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의 시각재활클리닉을 방문한 40명의 저시력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모든 환자가 2회의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저시력 기구 재활 교육 과정을 완료하였다. 기구 사용 전 및 기구 사용 2주 후 최대교정 양안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으며, 대비감도 검사 및 읽기 능력(읽기 속도 및 정확도)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주관적 검사로서, 자가평가 기능 점수 및 기구 사용 만족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39명의 환자가 연구를 완료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54.6 ± 22.7세였다. 기구 사용 2주 후, 가상현실 저시력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최대교정 양안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 및 대비감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p<0.001), 읽기 정확도에서도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나(p=0.027), 읽기 속도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가평가 기능 점수는 기구 사용 전 11.8 ± 4.5점에서 19.6 ± 5.3점으로 호전되었으며(p<0.001), 대부분의 환자들이 기구의 사용이 쉽고, 일상생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기구 관련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저시력 기구는 저시력 환자의 시각 재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추후 기술 개발을 통해 착용 형태의 변화 및 기능 개선을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a low vision aid using a virtual reality device (LVA-VR) in patients with low vision.
Methods: Forty low vision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a two-session LVA-VR training course. The binocular best-corrected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acuities (BCDVA, BCIVA, and BCNVA, respectively) were measured, along with contrast sensitivity and reading performance, at baseline and after 2 weeks of LVA-VR use. All subjects also provided a self-rated functional score (SFS) and completed a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llowing the study.
Results: Thirty-nine subjects (mean age, 54.6 ± 22.7 years) completed the stud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CDVA, BCIVA, BCNVA,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observed after 2 weeks of LVA-VR use (p < 0.001). Reading accuracy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 = 0.027); however, the reading speed did not change. Subject functionality improved,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the SFS (11.8 ± 4.5 vs. 19.6 ± 5.3) (p < 0.001). Most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visual function improvement and found LVA-VR to be useful in their daily activities. No device-related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or indicat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LVA-VR is beneficial for visual rehabilitation. Future technological advances are expected to improve LVA-VR performance and acceptability further for a better quality of life in low vision patien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