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Integration of Creativity in Major Courses on the Second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nglish Reading Cou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Yi, Jyi-yeon) 김영숙(Kim, Young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281~30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들 창의성 계발의 가능성 및 필요성을 주지하여 이를 계발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영어 읽기라는 전공교과와 창의성을 통합한 교과를 설계· 운영하고, 예비영어교사들 자신의 창의성과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에 2학기에 C 대학교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38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읽기 이해도 활동들로 구성된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운영하고, 영어 읽기 능력과 창의성에 대해 자기평가하도록 한 후 이를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성 자기평가에 있어서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고차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 호기심 등에서는 점수 향상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읽기 능력 자기평가에서도 세 그룹으로 구분한 영어 읽기 능력 수준에 상관없이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아지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인지적·종합적·분석적 사고력을 요하는 영어 읽기 능력 측면에 대해서는 점수 향상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영어교사양성에 있어서 전공교과와 창의성 간 통합 지도의 실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Recognizing the possibility and the need for creativity development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eativity integrated instruction in major courses of second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focusing on English reading course. The objectives of the course were two-folds; one was to improv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ading ability and the other was to enhance their creativity. The English reading course with 38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t C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of 2018 was instructed using creativity integrated reading comprehension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ssessment of creativity and reading ability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ity integrated English reading instruction significantly enhanc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in the area of di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nsitivity. In spite of the overall increase in creativity, certain areas such as high-order thinking, divergent thinking, curiosity and etc.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other aspects of creativity. In addition, self-assessment of read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three reading levels. Findings revealed that the integration of creativity into English major courses has its potential in improv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reativity and competencies for English teachers. Further suggestions and implication have been discussed regarding integration of major courses and creativity education in second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