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Groups based on the Heterogeneity of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애화(Kim Ae 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409~4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어인지와 철자 특성의 이질성에 근거한 집단의 관련성 및 차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어인지와 철자 특성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분류하고(단어인지와 철자의 어려움을 동시에 지닌 집단, 단어인지의 어려움만 지닌 집단, 철자의 어려움만을 지닌 집단, 일반학생 집단), 집단 간 단어인지 및 철자 성취도와 성취도 기저에 관여하는 인지처리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292명 학생을 대상으로 단어인지 및 철자 성취도 검사와 다양한 인지처리 검사(예, 음운인식, 음운기억, 표기코딩, 어휘 등)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의 출현율이 가장 높았고, 어려움을 지닌 학생 중에는 단어인지와 철자의 어려움을 동시에 지닌 학생의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철자의 어려움만 지닌 학생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단어인지의 어려움만을 지닌 학생의 출현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어인지와 철자의 어려움을 동시에 지닌 집단은 단어인지와 철자 성취도 모두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모든 인지처리 영역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집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표기처리(표기코딩 또는/그리고 동음이철어)가 단어인지와 철자에 대한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결과의 해석,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among groups based on heterogeneity of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characteristics (i.e., learning disabilities with both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difficulties, learning disabilities with word recognition difficulties only, learning disabilities with spelling difficulties only, typically developing). This study examined and compared word recognition/spelling achievement and the cognitive processing underlying word recognition/spelling achievement and among these groups. To achieve this goal, 292 students from grades 1 to 4 of elementary school were tested for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achievement and various cognitive processing tests (e.g.,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orthographic coding, vocabulary, etc.).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had both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difficulties appeared the most, followed by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ies only, followed by students with word recognition difficulties only. Seco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had both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difficulties had the lowest scores in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achievement, and the lowest scores in all areas of cognitive processing. Third,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oup, it was found that orthographic processing(i.e., orthographic coding and homophone recognition test) w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y results and the limi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