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in Institutional Car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도연(Kim Doh 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827~8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양육시설 영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시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아동양육시설의 만 3세 이하의 영유아들 44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의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 수준이 높아졌으며, 놀이성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정서발달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놀이성은 영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양육시설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사와의 애착안정성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영유아의 놀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 infant’s play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otal 44 Infants(ages 9months~3years) in the 7 selected institution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fant’s attachment stabilit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Second, the playfulness may lea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Consequently, attachment stability has influences on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was shown to mediate the path between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