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n Teacher’s Perception of Activation Plan for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Public Discourse within Institutional Contex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경(Goh, Eun-Kyoung) 강진주(Kang, Ji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1079~11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 내용에 대해 IPA 기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유아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40명의 교사 및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개발된 내용에 대해 300명의 유아교사가 응답하였다. 유아교사가 응답한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의 모든 내용에 대해 유아교사의 중요도는 수행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IPA 매트릭스에서 유아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 내용 중 ‘교사들이 고려해야 할 조건’의 내용에 대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기관의 운영배경’을 우선 필요한 영역으로, ‘유아가 심의 가능한 내용’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식의 제고나 실천적인 지원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실 내 유아의 담론적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activation plan for young children s participation in public discourse. Forty teachers and experts participated in develop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three hundred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by the IPA graph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cording categories of activation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activation plan for participation in public discourse of young children to be high but low in performance. Second, IPA matrix displayed that most of the contents of conditions to be considered by teachers are recognized as being well maintain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teachers recognized the “operational background of the institutions” as a priority support area, and “contents that children can deliberate” as areas to be needed for supporting the teachers’ long-term awareness and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was made on ways to promote the discours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