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amining the socialization of grit and the effects of peer community and teacher closeness using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주영(Yoo Joo Young) 박진이(Park Jin I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1267~12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의 사회화 과정을 탐색하고 학급수준에서 또래 공동체 의식, 교사 친밀성의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년 학생 963명, 총 32학급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걸쳐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Rsiena 1.2-12를 사용하여 종단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또래선택효과가 나타났다. 학기 초 그릿수준이 유사한 학생들은 학기 말에 응집적인 또래집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학기 초 또래 네트워크는 학기 말 그릿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릿이 사회적 학습의 결과이기 보다는 학생 개인의 목표에 기초한 자기통제 및 미래지향성과 관련이 높음을 시사한다. 셋째, 또래공동체 의식은 학기 말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교사 친밀성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친밀성 보다 또래 맥락이 학업적 동기와 사회적 발달에 핵심적 영향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그릿의 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또래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적 적응에 미치는 또래공동체 의식의 역할을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grit and the effect of peer community and teacher closeness. Participants were third to sixth graders from 32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N=963, 47.4% girl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SIENA) was adopted to disentangle socialization process of grit.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select their friends based on similarity in grit (peer selection). Students with similar grit level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ended to form cohesive peer groups at the end of the semester. Grit is more related to self-control and future-orientation based on individual student goals rather than a result of social learning. Also, peer commun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grit at the end of the semester. In contrast, teacher closen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This finding indicated that peer context plays a crucial role in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highlighted the peer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of grit and discussed the role of peers in academic adjus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