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Measurement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for Korean Language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정혜진(Jung, Hyejin) 지은림(Chi, Eunl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2호, 511~5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국어 교과의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 측정에 대한 탐색을 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10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ㆍ분석했다. 질문지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고, 세부요인들로서 비판적 사고로 ‘분석’, ‘추론’, ‘종합’이 포함되고, 창의적 사고로 ‘참신성’과 ‘생성력’이 포함되었다. 질문지는 내용전문가 검토를 거쳐 총 28개 문항들로 작성되었고 응답유형은 리커트식 5점 척도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첫째, Rasch 모형 문항적합도 분석을 통해 부적합 문항 1개를 제외하였다. 둘째, 문항반응범주곡선을 통해 5점 척도 응답지의 적절성을 확인하였고 셋째, 요인분석으로 5개 요인(2개 영역) 구성을 확인하였으며 넷째, 신뢰도 분석 결과는 α=.932이었다. 다섯째, 측정 점수를 학생들의 지필고사(선다형과 서술형) 및 수행평가(읽기와 쓰기)와 상관분석하여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 측정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surement of th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instrument including 28 items was administered to 105 middle school students. The Rasch measurement analysis confirmed that final 27 items were valid for measuring the competency and the scale of 5-points was appropriate for the equal intervals between response categories. The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consisted of five factors of analysis, inference, synthesis, divergence, and producibilit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is instrument, multiple choice tests, short essays, and performance assessment(reading & writing) proved that this instrument was valid for measuring the competency. Also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is instrument had high reliability(α=.932).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xploring how to measure students’ competencies validly and reliably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