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im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Likert Scale Data: Simulation Stud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선미(Seonmi Kim) 박찬호(Chanho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2호, 271~29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리커트 척도로 수집된 자료의 속성에 따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료의 속성과 처리 방법에 따라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조건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리커트 척도 자료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한 적절한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의실험 연구를 통해 리커트 척도 자료의 속성에 따른 연속형 추정 방법과 범주형 추정 방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고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커트 척도 자료의 속성과 무관하게 범주형 추정 방법의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척도의 응답 반응 범주 수는 적합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요인당 문항 수와 표본 크기는 적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 수가 적어질수록, 표본 크기가 커질수록 자료의 속성에 따른 적합도 차이는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범주형 추정방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자료의 속성에 따른 적합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for Likert scale data. This study compared the model fit according to the data attributes and the estimation methods, and identifi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ifference occurred.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an appropriate estimation metho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when using the Likert scale data. simulation analyses compared the model fit of the categorical estimation method with the continuous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Likert scale data using the simulated data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fit of the categorical estimation method showed good overall results regardless of the attributes of the Likert scale data. Second, the number of response categories did not affect the goodness of fit, while both the number of items per factor and the sample size affected the fit. Third, as the number of items decreased and the sample size increased, the differences in goodness of fit decreased. Fourth, the results of the real data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simulation study results by showing that the model fit of the categorical method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estimation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tegorical estimation methods should be preferentially used in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also provide specific criteria for conditions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model fit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dat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모의실험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