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a Q-matrix based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성훈(Sung Ho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2호, 353~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지진단 결과로 주어지는 미성취 인지요소의 치유교습 순서에 Q-행렬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결정하는지 탐색하였다. Tatsuoka(2009)가 소개한 인접행렬, 도달행렬, 그리고 영향도표를 이용하여 Q-행렬에 내재하는 인지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치유교습의 순서로 개념화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제안한 Q-행렬의 치유교습 순서 기여도는 그 행렬에 포함된 K개의 인지요소 간 있을 수 있는 모든 인과관계의 수에 대한 실제 Q-행렬에 내재하는 인과관계 수의 비율로 정의하였다. 분석 대상 Q-행렬은 이 이론적 배경에 사용된 예시적 Q-행렬과 실제 Q-행렬 2개다. 후자는 성태제(2018) 연구와 박세진·이현숙(2018) 연구에서 인용하였다. 연구 결론으로서 Q-행렬은 치유교습 순서 결정을 위한 보편적 출발점이 되며; 지식의 위계가 분명한 검사일수록 Q-행렬의 치유교습 순서 기여도는 높을 것이며; 인지진단 결과로 주어지는 인지상태는 Q-행렬의 가정과 충돌할 수 있음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nd how much does a Q-matrix contribute in deciding the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of the unattained attributes being identified from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Applying the adjacency matrix, reachability matrix, and influence diagram introduced in cognitive assessment context by Tatsuoka (2009), the sequence was defined a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ributes forming a Q-matrix. Three Q-matrices were gone under analysis. They were an example one, one from Sung’s(2018) study, and the other from Park & Lee’s(2018) stud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to three conclusions. Firstly, the Q- matrix could provide a objective starting point for a whole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secondly, the more hierarchical a Q- matrix was the more it helped deciding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thirdly, knowledge states from cognitive diagnosis might contradict the causal relationship assumptions implied by the Q-matrix.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