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Coupling of Self-concep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Adolescents: An Application of Latent Change Score Mode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함은혜(Ham, Eun Hy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2호, 427~45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잠재변화점수모형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의 변화와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1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직전 학년의 자아개념과 휴대전화 의존도 수준이 다음 학년의 자아개념과 휴대전화 의존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전 학년의 자아개념이 다음 학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전 학년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다음 학년의 자아개념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및 잠재성장모형과 비교하여 잠재변화점수모형의 유용성 및 향후 활용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coupling between self-concep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adolescents. A series of latent change score models were fitted to the 1st to 5th year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self-concept decreased over the grades, mobile phone dependency increased. Also, lagged self-concept or mobile phone dependency decelerated their changes in the following grades. Second, while lagged mobile phone dependency does not affect the decrease in self-concept at the next grade, higher lagged self-concept slow down the increase in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following years.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