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al Study of Distortion Errors in Affricativ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미진(Mi Jin Kim) 류은주(Eun Joo Ryu) 하지완(Ji-Wan 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441~4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말소리에서 가장 늦게 습득하며, 많은 오류를 보이는 말소리인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오류율과 오류패턴에 대한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세 후반부터 7세의 일반아동 556명을 대상으로 UTAP2의 단어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파찰음, 마찰음, 유음이 포함된 단어의 산출 시 나타나는 오류율과 오류패턴 별 비율을 산출한 후 연령집단 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말소리에서 오류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말소리 별로는 설측음 /ㄹ/, 파찰음, 탄설음 /ㄹ/, 마찰음 순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연령의 증가에 따른 오류패턴의 분포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파찰음은 대치, 파열음화의 과정을, 마찰음은 대치, 치간음화의 과정을, 유음은 생략, 대치, 약화의 과정을 거쳐 목표 말소리에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의 경우도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정확한 조음은 여러 왜곡 오류를 거쳐 완성되는, 생각보다 긴 여정이었다. 말소리 발달의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전국 규모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술적 근거가 부족하였던 왜곡 오류패턴의 발달 과정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중재 시 목표 음소를 향해 점진적인 접근을 유도하는 데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detail by comparing the distortion error rates and error patterns of affricativ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which are later developing speech sounds in Korean and exhibit many errors. Method: A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2 (UTAP2) word-level test was performed on 55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2-7 years. We compared the error rates and error patterns in words containing affricat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among age groups. Results: First, the error rat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older age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As age increased, error rates decreased in the order of initial /l/, /ʨ*/, /ʨ/, /ʨh/, final /l/, /s*/, and /s/. Second, regarding error patterns, the affricatives began with substitution and developed through the stopping process. The fricative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substitution and interdentalization/dentalization, and the liquids developed through omission and weake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process of speech sounds by analyzing error patterns; focusing on distortion errors of affricativ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in a sufficient amount of data from each groups. Thi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guide a gradual approach towards a target phoneme in the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