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otional behavior factors affecting college adaptability of freshmen in Medical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순(Young Soon Park) 천경희(Kyung Hee Ch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459~47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과대학 신입생의 대학 적응 현황과 대학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행동 요인들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8∼2019학년도 2년간 의과대학에 진학한 신입생 1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남학생은 82명, 여학생은 37명이었다. 158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적응력 척도와 정서행동을 측정하는 K-BASC2 검사 94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599∼.977이었다. 연구결과, 60.5%가 대학생활에 적응한 성공 집단이었으나 39.5%는 부적응 집단 또는 부적응 가능성이 있는 잠재 집단으로 나타났다. 대학적응력 3수준에 따라 정서행동 요인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내면화 문제행동에서 통제소재와 불안은 부적응 집단이 나머지 두 집단보다 높았다. 또한 사회적 스트레스와 우울, 부적절감은 부적응 집단이 대학적응 성공 집단 보다 높았다. 대학적응 성공 집단이 잠재 집단 보다 부모와의 관계를 잘 형성하고 있었고, 대인관계는 부적응 집단이 잠재 및 성공 집단에 비해 낮았다. 자긍심과 자아신뢰감은 성공 집단이 잠재 집단과 부적응 집단 보다 더 높았다. 대학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행동 요인은 대인관계, 통제소재, 자긍심이었으며, 대학적응력 변량의 약 35.5%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과대학생의 초기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학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behavioral factors affecting college adaptation status and academic stress of freshmen in medical school. The study targeted 119 new students who entered the medical school for two years from 2018 to 2019, 82 male students, and 37 female students. 158 items of College student Adaptability Test (CAT) and 94 items of K-BASC2 test to measure emotional behavior were used, and reliability was .599 to .977. As a result of the study, 60.5% were successful groups adapted to college life, while 39.5% were non-adapted high-risk groups or potential competency groups.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behavior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llege adaptability, the locus of control and anxiety in the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were higher in the maladapted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Besides social stress, depression, and inadequate reduction were higher in the maladapted groups than in the success adaptability group. The success group of adaptability had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parent than the potential non-adapted group, and the maladapted group had mor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an the successful & potential maladapted groups.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were higher in the success group than in the potential maladapted group and the maladapted group. The emotional behavioral factors affecting the college adaptability were interpersonal relations,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They are accounted for about 35.5% of the variance in the college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a college-level support plan that can improve the initial adaptation of medical students based on factors that can affect adap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