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egogram,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만(Lee Jong-man) 송경섭(Song Kyung-seob)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549~5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양성기관의 목적 중의 하나인 교사효능감을 높여줄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효능감과 이고그램의 성격특성 그리고 행복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 8일부터 12일 사이에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K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 대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이고그램 성향의 높고 낮음에 따라 각각 행복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 이고그램 요소가 있었다. 둘째, 이고그램 요소와 행복감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양육적 자아(NP), 어른 자아(A), 자유로운 자아(FC)와 행복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고그램 요소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보면, 비판적 자아(CP)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전체 교사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양육적 자아(NP)와 자유로운 자아(FC)는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전체 교사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이고그램 요소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유로운 자아(FC). 양육적 자아(NP), 순응적 자아(AC), 비판적 자아(CP)가 행복감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이고그램 요소,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행복감만이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전체 교사효능감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교사 양성기관 목표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는 이고그램 성격특성의 가능성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egogram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happiness to explore ways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itut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o this study proposal, between April 8 and 12, 2019,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39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 Women s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n egogram element that showed differences in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egogram tendencies.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egogram elements and happines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turing Parent self (NP), Adult self (A), Free Child self (FC) and happiness.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gogram element and teacher efficacy, the Critical Parent self (CP)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overall teacher efficacy. The Nurturing Parent self (NP) and the Free Child self (FC)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Third, looking at the effect of egogram factor on happiness, Free Child self (FC). Nurturing Parent ego (NP), Adapted Child ego (AC), and Critical Parent ego (CP)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Fourth, looking at the effect of egogram elements and happiness on teacher efficacy, only happi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egogram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happiness and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is a goal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