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Stress, Menstrual Attitudes and Premenstrual Syndrome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진(Park Hae Jin) 김미영(Kim Mi Young) 박효진(Park Hyo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675~6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확인하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4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학년, 수면의 질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월경태도는 생리 양, 월경통 해결방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월경전증후군은 수면의 질 만족도, 운동, 월경전 불편감, 월경통 해결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수면의 질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삶의 질은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수면의 질 만족도와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이는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수록, 수면의 질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o identify effects of menstrual attitude,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on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er collected from the subjects, 165 of nursing students at college in B, who agree to the collection of data, by explaining them about the objective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April 20 to May 20, 2018.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2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stres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grade,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slee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menstrual attitud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menstrual quantity, method of solution on menstrual pai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premenstrual syndrom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sleep, exercise, premenstrual discomfort, solution on menstrual pai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quality of lif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sleep.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jects variables exhibited that the quality of life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stress. There was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has been high in stress and influential factors with 18.6% of explanatory pow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