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Parenting attitudes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Focusing on the medium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의정(Chang Eui Jung) 강태석(Kang Tae Seo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1171~11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2,59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2020년 3월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거부, 전체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부모양육태도의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전체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에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ent-rearing attitude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o that end,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research using the 2018 data of the Korea and Youth Panel Survey, and the research was started in March 202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armth of parent-rearing attitude, autonomy support, provision of structure, rejection, and overall parent-rear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warmth of parent-rearing attitude, autonomy support, provision of structure, overall parent-rearing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