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n Foreign and Korean Lerner’s Variable and Learning Effects in Classics Reading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유경애(Ryu, Kyung-Ae) 이재득(Yi, Chae-Deu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4권 제3호, 205~2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수강하고 있는 한국인과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변인과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의 차이성과 연관성 등을 교차분석, 판별분석, 회귀분석과 경로분석 등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 간에는 평소 고전의 필요성, 중요성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없었으나 외국인 학생들이 고전에 대한 취향이 더 높았다. 수업을 통하여 발표력과 표현력 향상에는 국적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논리적 사고력, 가치관 형성 등과 영화감상과 토론의 유용성 등에서 한국인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고전 수업의 가치와 유용성에 대해서 외국인 학생들이 더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인 학생들의 학습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고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수업의 학습효과인 그 만족도와 표현력과 발표력에 유의한 향상을 가져왔다. 경로분석 결과, 고전에 대한 인식은 고전수업의 필요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매개변인들인 표현력과 발표력, 그리고 삶의 가치관 형성 등을 통해 고전수업의 필요성 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variables and learning effects of classics reading lessons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using cross tabulation table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s the results of cross tabulation table analysis, even 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n the classics, foreign students like the classics more than Korean students. Korean student estimated higher than foreign students the classic class in improving the logical thinking, the formation of value of judgement, and the usefulness of movies and discussions. As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Foreign student also estimated lower than Korean students the value and the usefulness of classic classes. Korean students have more satisfied the learning effects of classics reading lessons.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classics can affect positively the satisfaction of classics reading class, the expression power, and presentation. While the recognition variable on importance of the classic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earning effects such as necessity of the classic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o friend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it indirectly influenced on the learning effects via the mediate variables of the enhancement of presentation and expression power and the value of life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목차
1. 서언
2. 기존 문헌연구
3. 고전읽기 수업 변인과 조사
4.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5.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