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lf-care Experiences of Child Counselor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임상희(Sanghee L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6권 제2호, 353~402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이번 연구의 목적은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self-care) 체험을 생생히 드러내고, 그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여 아동상담자들이 자기 돌봄의 의미를 성찰하고 실제로 자기 돌봄을 실천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아동 상담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이 지니는 본질적인 의미를 찾기 위해 아동상담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의 본질적인 주제는 ‘낯설고 힘든 자기 돌봄’, ‘일상에서의 자기 돌봄’, ‘전문가로서의 자기 돌봄’, ‘성장을 위한 계속된 자기 돌봄’으로 총 4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나로부터 소외된 나를 깨닫고, 타인에서 나에게로 돌봄의 방향을 조절하여 자기를 돌봄에 있어 적절하고 건강한 균형을 맞추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첫째, 양적 연구에서 밝히기 어려운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 체험을 보다 실체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이며 둘째,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에 있어 어려움이 무엇인지 드러내고 이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언급했다는 점, 셋째,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help child counselors reveal their self-care experience as it is, and realize the meaning of self-care and actually put it into practice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hat they have experienced, ultimately increasing the quality of child counseling. To accomplish such goals,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What are the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and what it mean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dopt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child counselor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our themes were extracted; ‘difficulty of self-care’, ‘self-care in everyday life’, ‘self-care as experts’ and ‘continuous self-care for growth’, particularly as essential themes for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Through these themes, the meaning of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was concluded as ‘a process of finding an appropriate and healthy equilibrium in self-care by recognizing alienation of oneself from their own self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self-care from others to oneself.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substantially revealed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which is not easy to disclose in quantitative research. Secondly, it exposed what difficulties child counselors have in self-care and stated what they need. Thirdly, it provided basic data that child counselors can effectively use when developing self-care programs. Lastly, it specifi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y proposal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의 의미
V.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