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tial Writing: Focused on the ‘Broken Windows The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영(Park, Sun-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2호, 133~1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깨진 유리창 이론’을 토대로 대학생들의 체험적 글쓰기의 효과성을 고찰하되, 포토에세이 쓰기를 통해 이들의 내, 외적 변화를 이끄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고는 서울신학대학교의 1학년 교양필수 과목인 <교양독서와글쓰기>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체험적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Wilson과 Kelling(1982)의 ‘깨진 유리창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EBS다큐를 활용하였으며, 보다 상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텍스트를 참조하도록 하였다. 4주간에 걸쳐 학생들은 자신의 삶의 ‘깨진 유리창’을 인식하고 수리하면서 포토에세이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체험적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포토에세이를 주 자료로 삼고, 학습자들의 반응을 객관화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보조 자료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자료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일상적 삶에 뚜렷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체험에 기반 한 글쓰기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진지하게 성찰하고, 자기 인식과 행동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tial writing based on the ‘Broken Windows Theory’ and aimed to lead them to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through writing a photo essay. Thus, this study proceeded with experiential writing education with the students taking “Reading and Writing as Liberal Education,” a general required course for Freshmen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is study utilized EBS Documentary so that the students could easily understand the ‘Broken Windows Theory’ by James Q. Wilson and George L. Kelling, and for more detailed parts, they were asked to refer to the text. For four weeks, the students completed their photo essay, recognizing and fixing ‘broken windows’ in their lives. This study took the photo essays as the primary material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writing education and took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surveys as the secondary materials to objectify the learners’ responses. This study could find clear changes in the students’ lives through materials analysis and coul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based on experi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reated opportunities in which the students earnestly reflect on their lives and draw positive changes in their self-awareness and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학습자들의 포토에세이 분석
Ⅳ. 설문을 통한 효과성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