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하나(Oh Ha Na) 이현진(Lee Hyun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2호, 555~57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4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학업지연행동, 기본심리욕구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와 AMOS 18.0을 통해 변인 간 관련성과 매개효과 검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기본심리욕구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학업지연행동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기본심리욕구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se reasons, the data from a total 346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us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 academic procrastination scal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there was a full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