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Prevention System: Response to the MERS Outbreak in 2018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전세영(Jeon, Se Yo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3호, 39~5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국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과거와 달리 신종감염병의 유입이 쉬워졌으며, 이에 따른 피해 또한 증가했다. 국가가 질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편된 국가방역체계의 거버넌스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8년 발생한 메르스를 국내유입차단, 초기대응현장, 유행확산대응 3가지 측면을 대응성, 전문성, 투명성, 연계성 4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여 거버넌스 시스템이 얼마나 잘 시행되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문성과 투명성은 많이 향상되었 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출입국관리부분의 대응성과 초기대응현장의 연계성 부분은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미흡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향후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할 것으로 예측한다.
영문 초록
As international exchanges have become more active, the inflow of new infections has become easier and the damage from these new infections has increased. It is an important task for a nation to protect its people from disease. Therefore, in order to look at the governance of the national prevention system that was reorganized in 2015, we aimed to analyze how well the governance system was implemented by taking the MERS outbreak into account. We use the three aspects of prevention of domestic inflow, initial response site, and epidemic response based on four criteria: responsiveness, expertise, transparency, and connectivit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tise and transparency hav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responsiveness of the immigration control sector and the connection of the initial response site were insufficient. If these analyses make up for the deficiencies, it is expected to be resolved quickly and accurately even if there are new viruses in the futur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현행 국가방역체계
3. 분 석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