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Power Cable Fire Case in Busan-JungKwan Energ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지홍근(Ji, Hongkeun) 조영진(Cho, Youngji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3호, 117~12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구역전기사업자인 부산정관에너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도시에 블랙아웃이 발생한 사례의 화재원인을 분석하였 다. 현장의 연소 형상, 케이블 종단접속부의 소훼 형상, 사고 발생 시 제어시스템의 과전류계전기 데이터, 이벤트 로그 데이터 등의 분석을 통해 변압기 2차측의 케이블 종단접속 부분 중, B상에서 최초 지락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케이블 종단접속 부분의 X-ray 검사 및 분해 검사를 통해 B-1 케이블의 스트레스 콘 내부에서 절연체의 천공 흔적 및 도체의 전기적 용융흔적을 확인함으로써, B-1 케이블 내부에서 최초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한정할 수 있었다. 또한, 케이블 절연체의 천공된 부위에서 도체에 수직방향으로 공구에 의해 손상된 흔적이 식별되는 상태로써, 케이블 접속 과정에서 절연체가 손상되어 다른 부위보다 빠르게 열화가 진행되면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fire cause of blackout occurred in the Busan-JungKwan Energy as a Community Energy System (CES) was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he data such as burn patterns at the site, melted shape of cable head by the fire, overcurrent relay (OCR) of the control system, and event log, it was confirmed that first ground fault occurred at the termination connection of secondary cable of transformer. It was concluded because the void space of insulation and electrical melting trace conductor were investigated in the cable stress cone by detailed investigation and X-ray inspection for cable termination. In addition, as the damage by the tool o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ductor was identified, it was presumed that the accident occurred by deterioration progress of insulation which was accelerated than that of the other parts.
목차
1. 서 론
2. 이 론
3. 정관에너지 화재사례 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