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Ex-ante Evaluation Items for Industrial Complex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최명섭(Choi, Myoungsub) 김주영(Kim, Ju-Young) 김명수(Kim, Myeongsoo)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56호, 47~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국문 초록
산업단지는 지역경제 및 국가경제의 중요한 발전 동력으로 경제, 고용, 창업, 수출 등 직접적인 경제적 기여 외에 지방재정이나 토지이용의 효율성 제고 등 간접적인 기여도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사전평가에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국내 산업구조가 고도화에 됨에 따라 도시접근성이 강화된 다양한 산업단지가 개발되고 있어서 이런 변화양상을 고려한 산업단지 개발의 효과를 보다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의 개발이 긴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신규투자 중심의 산업단지 평가항목의 문제점에 기반하여 산업단지의 다양한 편익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을 수요, 산업단지와 지역 및 국가로 크게 3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평가항목들은 산업단지의 복합개발 추이와 도시접근성 강화 그리고 입지업종 측면에서 변화해가는 산업단지 개발에서 보다 합리적인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들을 논리적으로 제시·종합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Industrial Complexes have direct effects on its national economy for employment, startup, export, and also an indirect contribution to regional finance and land use. As a result of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tructure, the industrial complex s development pattern is developing its location near the urban center, and located firms differ in its type of business. Considering this changing trend of industrial complexes, it needs to set up a new ex-ante evaluation system of their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recent narrow evaluation system and suggests more diverse evaluation indexes. The underestimation of benefits of the industrial complex might be a barrier in making a sound economy through the planned location of high-tech firms. We divided its evaluation systems into three groups, like new demand, the demand of an industrial complex, and contribution to the region and national economy. Indexes of this study cover recent changing patterns of firm’s locatio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industrial complex, so this study has a meaning of exploratory research in this field. The evaluation indexes of this study also consider mixed-use development trends and the city-oriented location of the recent industrial complex and suggest the entire framework in the feasibility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산업단지 사전평가에 대한 고찰
Ⅲ. 산업단지 사전 평가항목 설정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