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pirical analysis of Back Draft Phenomenon in a Dust Collector based on 3D explosion damage simulation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조영재(Young Jae Cho) 윤홍식(Hong Sik Yun) 윤형욱(Hyoung Uk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7~77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2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석탄 및 코크스를 혼탄으로 사용하는 제철 산업 현장의 집진기에는 매년 자연발화와 분진폭발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밀폐된 집진기의 공간적 특성상 진압 과정에서 백 드래프트 현상이 유발된다.
본 연구는 2016년 3월, 제철 산업 현장의 집진기에서 발생된 백 드래프트 현상에 대한 폭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고 당시 폭발 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3D Explosion Damage Modeling Tool은 과압 (Over Pressure)과 충격 지속시간 효과 (Pulse Duration Effects)의 상관 관계를 통해 당시 폭발 위력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 값은 TNT (TriNitroToluene) 등가량으로 환산되어 피해 규모를 제공한다.
사고 현장의 집진기는 4개의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3번째 본체에서 첫 번째 분진폭발이 발생했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두 번째 폭발인 백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해 집진기 Cover 및 본체 구조물 변형을 초래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당시 사고는 TNT 1.7kg의 폭발량과 동일한 수준의 피해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집진기 Cover (SS400) 항복강도인 215MPa을 초과하고, 주변 Duct에는 약 177MPa의 최대발생응력을 유발하였다.
특히, 집진기 전체 내부 구조물에는 약 6.9bar 수준의 폭발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