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저자명
- 이홍배(Hong-Bae Lee)
- 간행물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7卷 第1號, 265~2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확대 추이를 보이고 있는 일본 해외투자의 구조적 특징과 패턴 및 정책 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대한국 투자 촉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한국이 앞으로 질적⋅양적으로 더 많은 일본의 자본과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일본정부 및 기업의 해외투자진출 결정요인과 니즈 등을 충분히 파악하는 것이 우선순위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1970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일본기업의 해외투자는 “무역장벽 회피”,“비용 절감”, “시장 지향”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나, 2010년 들어 “판로 개척 및 확보”에 중점을 두고 해외진출을 전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일본의 해외투자 패턴이 달라진 데는 무엇보다도 일본 정부의 해외투자 지원 관련 정책 변화가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 특히 제조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에 대한 해외투자 지원정책이 과거에 비하여 큰 폭 확대된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에 대한 투자 패턴은 기존의 단순한 “제조생산 거점형” 투자에서 벗어나 “연구개발형 및 판로개척형” 투자 형태로 전환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focusing on a change in 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overseas directinvestment and the pattern in Japan. And that for groping after the casting plan topull Japanese direct investment to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tern of the Japanese direct investment in the pastwas the shape as the avoidance of a trade barrier and the reduction in productioncost. But it became clear recently that the investment which focused on pioneeringin a market is being expanded. The results also showed clearly that the pattern ofthe Japanese direct investment to Korea breaks from the simple manufacturingproduction base type of the existence and converts into a research and developmenttype and cultivation of the market a type in particular.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특징
Ⅳ.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패턴과 정책변화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