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in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은(Kim Jungeun) 최진령(Choi, Jinr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1호, 521~5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아동학대, 양육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영유아 어머니 278명을 연구 대상으로 자녀권리존중 실행, 아동학대,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278부로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 회귀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는 부적상관, 아동학대와 양육스트레스는 정적상관,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상시 부모의 자녀권리존중 실행이 잘 이루어진다면 양육스트레스 질적 차이에 의해 아동학대의 정도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나 어느 정도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학대와는 상관없이 존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 respect of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child rights, their child abuse and parenting stress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8 selected mothers who had thei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te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hild-rights respect inventory, a child-abuse inventory and a parenting stress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that were 27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18.0, an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 of the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parenting str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had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it didn t produc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f parents usually respect their children s right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parenting stress or not makes no difference to the degree of child abuse. Therefore parenting stress may take place to some extent irrespective of child abus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