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희(Kim Myung-hee) 김정렬(Kim Jeong-r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음운 인식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음운 인식 지도의 필요성과 교수・학습지도 모형의 개발의 방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교사이고, 설문의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여 해석하였다. 연구는 음운 인식지도 경험과 음운 인식 지도 방법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설문 결과는 첫째, 설문에 참여한 과반수 이상의 초등교사들이 음운 인식에 대해 이해하고 필요성도 느끼고 있었으나, 음운 인식지도 경험은 반대로 그 비율이 아주 낮았다. 교사들이 음운 인식 지도의 필요성을 알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 음운 인식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음운 인식 지도 교수・학습 모형을 사용한 경험의 비율은 낮았지만, 활용할 의사는 높았다. 다시 말해, 음운 인식 수업을 하고자 하지만, 그에 적합한 교육 자료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need for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experience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method. Firs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primary teachers in the survey understood and felt the need for phonological awareness, but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experience was quite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but there is no actual practic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Second, teachers had a low percentage of experience using phonological awareness teaching-learning models, but the percentage of willingness to use teaching-learning models was high. In other words, teachers want to have a phonological awareness class, but lack proper teaching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