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략형 학업 정서반응 척도(Brief Academic Affective Reaction Scale; BAARS)의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293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Brief Academic Affective Reaction Scale (BAA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아(Choi Jung 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483~5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습자의 학업관련 경험을 반영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학업관련 정서반응을 측정도구를 제작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학습자의 보고내용을 토대로 학업관련 정서 반응 척도를 제작하고, 220명의 20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적일치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2요인 9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2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MIN/DF가 2.336, NFI가 .938, IFI가 .964, CFI가 .963, TLI가 .936, RMSEA가 .078로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위척도별 신뢰도 분석결과, 학업 정적정서가 .81, 학업 부적정서가 .89로 나타났으며, 학업 정적 정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간 유의한 정적상관이, 과제난이도,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동기결핍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학업 부적 정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간 유의한 부적상관이, 과제난이도,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동기결핍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향후 교육 및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용도로 본 척도를 사용할 수 있는 임상적 함의를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tool for the academic related affective reactions by reflecting the academic experiences of Korean learners. The scale was prepar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earner s academic related experiences.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220 learners in their twenti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219 people, the model fits of two factor model were good: CMIN / DF was 2.336, NFI was .938, IFI was .964, CFI was .963, TLI was .936, and RMSEA was .078.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es by sub-scales, the posi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was .81 and the nega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was .89.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cademic reactions and task difficulty, academic procrastination, fear of failure, and lack of motivation and vice versa. This suggests a clinical implication that this scale can be used for future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