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the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Ohio, U.S.: Focusing on Curriculums in 2007 and 2015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샛별(Kim, Saet-B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503~5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2015년 공포된 미국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분석해 2022년 차기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에 참고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2007년, 2015년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의 내용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교육과정은 기준 중심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을 보인다. 둘째, 2007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내용기준(standard), 수행수준(benchmark), 설명지표(descriptor)로 구성되어 있고, 학년군별 수행수준을 제시하였다. 반면, 2015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영역(strand), 결과(outcome), 역량(competencies)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2007, 2015 오하이오 주 교육과정은 가정교과 내용이 학생들의 진로와 연결되도록 개발되어 있었으며, 2007 교육과정은 학습자를 직업인의 관점으로, 2015 교육과정은 기업가의 관점으로 보고 진로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넷째, 교육과정 내용 분석 결과, 2015 교육과정에서는 가정과에서 다루는 문화 교육과 디자인 교육 내용이 확장되고,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이 추가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차기 2022년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첫째, 기업가정신 개념을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로 포함하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인 삶의 영위를 돕고, 둘째, 가정과에서 다루는 문화의 범위를 ‘가정생활’의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 교육 요소를 통합해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에서 다루는 디자인 개념을 인간의 삶의 질과 가치의 향상, 그리고 진로 개발을 위한 필수적인 개념으로 확장하여 2025년 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 신설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promulgated by Ohio state in U.S. in 2007 and 2015 and provide basic reference for revising the next curriculum of Korean home economics in 2022.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Ohio’s home economics education in 2007 and 2015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2007 curriculum was standard-centered while the 2015 curriculum was competency-centered. Second, the 2007 curriculum was composed of content standard, performance benchmark, and descriptor and suggested the performance benchmark by grouping for grade. On the other hand, the 2015 curriculum was composed of strand, outcome, and competency. Third,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s for 2007 and 2015 were developed to lead to students’ career, with the career achievement standard for learners from working professionals’ perspectives for 2007 curriculum and from entrepreneurs’ perspectives for 2015 curriculum. Third, the analysis of curriculum content demonstrated that the 2015 curriculum expanded the cultural and desig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nd add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Korea to first add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an ele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help lead adolescents’ self-directed lif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by expanding the scope of culture covered in home economics beyond ‘home and life’ and by integrating various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the design concept in home economics in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value as well as an essential concept for career development, thereby newly offering a variety of career-related elective subjects to prepare for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
Ⅳ. 분석 결과 및 차기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