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Achievement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준홍(Park, Junhong) 김경희(Kim, Ky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761~78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됨에 따라 평가 역시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야 한다는 문제의식하에 기존 국어과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인 성취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국어과 역량이 국어과 성취도 평가 틀의 구성 요소로 기능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한 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답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는 역량 기반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성과가 부족한 상황에서 델파이 조사 결과에 한해 도출된 잠정적인 방안이었기에, 궁극적으로는 보다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급별 하위 영역 비중의 차등화, 국어과 역량 설정의 타당화 및 세분화, 결과 산출 및 보고 방식의 변화를 개선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to competency-based achievement assessment,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what the cor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d how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can function as a component in the achievement assessment framework. However, the above results were provisional improvement measures drawn in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research results on competency-based evalu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thre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giving differential weight of sub-domain by school level, validation and segmentation of competencie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etting, and changes in how results are produced and repor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