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eacher’s formation evaluation feedback,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nce, and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on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준호(Kim, Junho) 최현준(Choi, Hyunjun) 김누리(Kim, Noor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899~9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여부에 따라 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학생의 특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지역 M대학의 ‘유체역학’ 전공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로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교수자는 실험집단에 매주 형성평가를 실시 후 학생 개인별로 정교화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집단 간 차이검증, 변인별 상관관계, 실험집단을 중심으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도, 피드백 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드백 제공여부,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도, 피드백 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피드백 제공여부는 피드백 수용도와 피드백 활용능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여부와 피드백 수용, 피드백 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udent s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bility,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acher provides feedback in university class, and specifically check how it aff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were taking Fluid Mechanics classes at M university in J district and classifi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ma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week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dividualized elaboration feedback was provid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nc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 in all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provision, academic self-regulation, feedback acceptability,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eedback provis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eedback acceptance and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provide feedback, accept feedback, and utilize feedback have an effect on the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ow to provide teacher’s feedback should b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