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 of University Profess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희(Kim jin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1283~13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사에 경남에 소재한 A대학의 교수 156명이 참여하였으며, 약 2주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 내용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운영 경험, 정착화 방안에 관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었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의 실태는 전반적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양보다는 전공과목에서, 1학년과 4학년보다는 2학년과 3학년 과목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반면 과정중심평가 교과목 경험이 전혀 없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높았다. 과정중심평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의 수행 과정을 평가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정중심평가 실시함에 있어, 교수의 과도한 평가 업무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또한 교수들이 과정중심평가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수업과 평가에 전념할 수 있는 교수 업무 환경 조성을 꼽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professor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15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ver two weeks for this study.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awareness, experiences, and establishment method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professor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showed that they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of process-based assessment and that they greatly agreed on the need for process-based assess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was conducted across the board, and that it was conducted more in specialized major subjects than in liberal arts subjects, and more for second and third year classes than for first and fourth year classes. On the other hand, when professors that had no experience with process-based assessment subjects were asked why they do not have process-based assessment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xperience showed that professors were assessing the overall performance process of students and that they were continuously making assessments. In addition,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excessive work burdens related to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perceived to be the greatest hurdle, and the cultivation of a work environment for professors that allows them to solely concentrate on classes and evalu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