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omparison of Diagnostic Profiles of Students in Korea and the USA on TIMSS Mathematics Assessment

이용수 22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박찬호(Park, Chanh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에 시행된 국제 수학ㆍ과학 추이 연구의 수학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8학년 학생들에게서 얻은 진단 프로파일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DINA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과 미국 학생들의 진단 프로파일을 구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내용 중심 Q-행렬을 점검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문항 통계를 점검한 후 각 나라 학생들의 문항속성 숙달률을 비교하였다. 두 나라 학생들 간에 가장 큰 차이는 기하 영역에서 발견되었는데, 기하는 고차원적 사고를 요하는 영역이며 이러한 차이는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기하 영역에 속하는 속성 중 하나에 대해서는 미국 학생들의 숙달 확률이 한국 학생들보다 높았다. [결론] 연구 결과는 한국의 수학교육에서 필요한 처치 전략과 함께 논의하였다. 비록 한국 학생들이 기하에서 전반적으로 더 높은 숙달률을 보였지만 미국 학생들의 숙달률이 더 높은 하나의 속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국가 간 비교에 있어 DINA모형을 적용하는 것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profiles of eighth grade stud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on the eighth grade student s mathematics assessment of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Methods: The profile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deterministic-inputs, noisy “and” gate (DINA) model for the students in both countries. A content-driven Q-matrix, developed and validated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was checked and used in this study. Results: After checking item statistics, the mastery probabilities of both countries were compared. The largest gap was found on Geometry, which requires a higher-order thinking skills. This finding is in line with that of the previous literature. However, the US students had a higher master probability on one of the attributes in Geometry than Korean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medial strateg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lthough Korean students had higher mastery probability in Geometry, the one attribute, on which Korean eighth grade students showed lower mastery probability, needs further analys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pplying the DINA model for a comparison of countrie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호(Park, Chanho). (2020).A Comparison of Diagnostic Profiles of Students in Korea and the USA on TIMSS Mathematics Assessment. 비교교육연구, 30 (2), 1-22

MLA

박찬호(Park, Chanho). "A Comparison of Diagnostic Profiles of Students in Korea and the USA on TIMSS Mathematics Assessment." 비교교육연구, 30.2(2020): 1-2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