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Mentor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승렬(Lim, Seung-ryoul) 김연미(Kim Yun-m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301~3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의 경험은 어떠하며 멘토교사가 경험하는 멘토링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멘토 경력이 있는 경력교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8월부터 9월 첫째 주까지 약 5주 간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멘토교사들은 멘토역할을 경험하며 멘토링 초기 멘토역할의 모호함, 멘토로서의 전문성 부족, 멘토링 기술 부족, 멘토의 예상과 다른 멘티의 반응에서 오는 어려움 등을 경험하였으나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면서 성취감을 얻을 수 있었으며 멘토역할에 대한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어다. 둘째 멘토교사들이 경험한 멘토링 경험의 의미는 유아교사로서의 역할을 재인식하게 되어 교사로서 나의 자리를 찾는 계기가 되었으며, 멘티의 변화를 통해 현재 자신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부족한 점이나 개선할 점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자신을 돌아보고 성장할 수 있는 ‘교학상장’의 경험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mentor teachers experience role of mentor, what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s composed. For the purpose, 6 experienced teachers with mentor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ntor teachers felt pressured by experiencing the role of mentors, but as mentoring progressed, they were able to get out of the pressure. Mentor teachers also experienced a variety of difficulties in the beginning of mentoring, but they could g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watching the mentee change. Second, the meaning of mentoring experience by mentor teachers had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rol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an experience that allowed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grew through changes of mentee. As a result, the mentor teachers experienced “reciprocal learning between mentor and mente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