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actice of Educational Equality in Public Educa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주(Lee, eu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579~5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국문 초록
연간 21조에 육박하는 한국의 사교육시장은, 꾸준한 교육개혁에도 불구하고 2019년 현재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그 중심에는 영유아시기부터의 영어사교육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공교육 내의 영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천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립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교육평등을 위한 영어교육의 발전 동향을 분석한다. 기존의 연구동향이 영어과목을 중심으로 한 사교육열에 초점을 맞혀왔다면, 본 연구는 공립초등학교의 학부모의 인식변화 및 공적영역에서의 영어교육 실천 효과를 조사 분석한다. 그 결과, 첫째, 혁신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영어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계기로, 저학년의 사교육 참여비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이 될수록 조기 사교육과 무관한 영어수준 및 학업성취도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공립초등학교 내에서의 영어교육의 질적 향상이 교육 평등의 기조가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in Korea, which is close to 21 trillion per year, has reached its highest level in 2019 despite steady education reforms, with English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taking the largest p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equal opportunities of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parents of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n the parent awareness survey, the rate of private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is remarkably decreasing due to the investment in English education in public schools. Second, in the upper grades, childrens’achievement on English is not relevant to whether they took the private English tutoring at the younger age. This suggests that the quality improvement of English educatio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s the basis of the quality of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